본문 바로가기
카테고리 없음

아이 성향에 맞는 공부법 찾는 법

by joooob 2025. 5. 10.

 

“우리 아이는 왜 공부를 싫어할까요?”
“이 방법이 좋다던데, 우리 아이는 왜 효과가 없을까요?”
많은 부모님들이 공부법을 찾아 헤매지만, 정작 중요한 건 ‘내 아이에게 맞는 방법’인지 파악하는 것입니다.

아이마다 성향과 기질, 집중 방식, 동기 유형이 다르기 때문에, 효과적인 공부법도 제각기 다릅니다. 이 글에서는 아이의 성향을 파악하는 실질적인 기준과, 그에 맞는 공부법을 제안하는 방법을 알려드립니다. 부모가 아이를 제대로 이해하면, 공부는 ‘시키는 것’이 아니라 ‘함께 설계하는 것’이 됩니다.

 

아이 성향에 맞는 공부법 찾는 법
아이 성향에 맞는 공부법 찾는 법

 

아이의 성향을 이해하는 3가지 질문

공부법을 정하기 전, 가장 먼저 해야 할 일은 아이의 기본 성향을 파악하는 일입니다. 성향을 진단할 때는 심리학에서 자주 사용하는 ‘기질’과 ‘동기유형’의 틀을 바탕으로 아래 세 가지 질문을 던져보세요.

① 혼자 있을 때 에너지가 충전되나요, 함께 있을 때 활발해지나요?
   ➡️ 내향형 vs 외향형
내향적인 아이는 조용하고 혼자 집중하는 활동에 강하며, 외향적인 아이는 상호작용을 통해 활력이 올라갑니다.

따라서 내향형은 조용한 환경, 외향형은 대화 기반 학습이 효과적입니다.

② 실수를 두려워하나요, 시도해보는 걸 좋아하나요?
   ➡️ 안정형 vs 도전형
안정형 아이는 계획에 기반해 학습을 진행하는 걸 좋아하고, 도전형 아이는 새롭고 창의적인 방식에 흥미를 느낍니다.

③ 목표가 있어야 움직이나요, 재미가 있어야 지속하나요?
   ➡️ 결과 동기형 vs 과정 동기형
결과 동기형은 시험, 상, 칭찬 같은 외부 보상에 민감하고, 과정 동기형은 활동 자체에서 의미와 재미를 찾습니다.

✔️ 부모 실천 팁
아이와 함께 성향 관련 대화를 해보세요.
“혼자 조용히 공부할 때 좋아?”
“목표가 있으면 더 집중이 잘돼?”
이런 질문이 아이를 이해하는 열쇠가 됩니다.

 

 

성향별 맞춤 공부법 제안

아이의 성향을 파악했다면, 그에 맞는 학습 환경과 방식을 조정해야 합니다. 여기서는 대표적인 성향 조합에 따라 맞춤 전략을 소개합니다.

▍① 내향형 + 안정형 + 과정 동기형
특징: 조용한 환경에서 차분히 학습, 계획 세우는 걸 좋아함

추천 공부법:

공부 시간표와 할 일 목록 만들기

혼자 탐색할 수 있는 프로젝트 학습

온라인 강의나 독서 위주 자율 학습

주의점: 지나치게 혼자 공부하게 두면 외부 자극에 약해질 수 있으니, 적절한 피드백과 격려 필요

▍② 외향형 + 도전형 + 과정 동기형
특징: 활발하고 새로운 것에 도전하는 걸 좋아함, 지루함에 약함

추천 공부법:

짧고 다양한 활동 구성 (예: 20분 단위 집중 + 활동 전환)

토론, 발표식 공부

직접 만들고, 표현하는 프로젝트형 과제

주의점: 너무 자유롭게 하면 산만해질 수 있으므로, ‘목표’와 ‘끝나는 시점’을 명확히 제시해야 함

▍③ 내향형 + 도전형 + 결과 동기형
특징: 말은 적지만 결과 지향적이며 도전 의식이 강함

추천 공부법:

스스로 목표 설정하게 하고, 결과를 기록하는 습관

난이도 있는 퍼즐, 논리 문제 등 도전 과제 활용

공부한 내용으로 뭔가 ‘보여줄 수 있는’ 기회 제공 (퀴즈, 포트폴리오 등)

주의점: 실패에 민감할 수 있으니, 실수도 학습 과정임을 반복해서 알려줘야 함

 

 

아이와 함께 '공부 설계자'가 되어 주세요

많은 부모님들이 좋은 공부법을 찾기 위해 유명 강사, 유명 책, 유튜브 채널을 참고합니다. 하지만 그 방법이 우리 아이에게 꼭 맞는다는 보장은 없습니다. 학습은 일방향이 아니라 맞춤형 설계가 필요한 영역이기 때문입니다.

부모가 할 수 있는 가장 중요한 역할은 공부를 시키는 사람이 아니라, 함께 설계하고 응원하는 조력자가 되는 것입니다.

✔️ 실천 팁:

매주 한 번, 아이와 ‘공부 회의’ 시간을 가져보세요.
“이번 주 공부하면서 어려운 점은?”, “다음 주엔 어떤 방식이 좋을까?”

실패해도 혼내기보다, 원인-과정-대안을 아이와 함께 정리해보세요.
“그 날 왜 집중이 안 됐을까?”, “다음엔 어떻게 해보면 좋을까?”

이런 대화를 통해 아이는 자신의 공부 방식을 스스로 조율하는 ‘메타인지’ 능력을 키울 수 있고, 부모는 아이의 진짜 모습을 점점 더 정확히 이해하게 됩니다.

 

정답은 아이 안에 있습니다
공부법에는 절대적인 정답이 없습니다.
하지만 아이의 성향을 존중하고 이해하려는 부모의 태도는, 그 어떤 학습 방법보다 강력한 힘을 갖습니다.
아이마다 자라는 속도가 다르듯, 맞는 공부법도 다릅니다.

이 글을 계기로, 부모님이 아이의 성향에 좀 더 귀 기울이고, ‘공부를 시키는 사람’이 아니라 ‘함께 성장하는 파트너’가 되어주시길 바랍니다.
성공적인 학습은 아이에게 맞는 방식에서 시작됩니다.